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초전도체 특허 정보

by 초전도체 superconductor 연구인 2025. 3. 23.
반응형

초전도체 특허 초전도체는 활용 범위가 넓어지면서, 기업과 연구기관 간의 특허 확보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서론

특허는 기술 우위를 지키고 시장 선점을 실현하는 핵심 수단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초전도체 특허’는 구체적으로 어떤 양상을 띠고 있을까요? 누구나 특허청 데이터베이스를 살펴보면, 합금계·세라믹계 등 초전도체 재료와 제조 공정, 냉각 시스템, 응용 장치 등에 대한 특허가 방대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1986년 ‘고온 초전도체’ 발견 이후, 액체 질소(77K) 수준에서도 초전도성이 발현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세계 각국이 특허 전략에 적극 뛰어들게 되었습니다.


초전도체 특허 배경

초전도체 특허 배경들에 대하여 시간을 거슬러올라가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고온 초전도체 발견과 특허 경쟁

초전도체는 1911년 카멜링 오너스가 수은에서 초전도 현상을 발견한 이래로, 1957년 BCS 이론 정립, 1986년 구리 산화물 고온 초전도체 발견 등을 거치며 발전해 왔습니다. 1986년 이후 Tc(임계 온도)가 77K 이상인 물질(YBCO, BSCCO 등)이 보고되자, 액체 질소 냉각도 가능해졌고, 이를 상용화하기 위한 연구 경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수많은 기업과 연구기관이 기초 물질 합성, 제조 공정, 냉각 장치, 응용 설계 등에서 특허를 확보하려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게 됩니다.

특허 확보의 중요성

특허는 단순히 기술을 보호하는 장치를 넘어, 시장 진입 장벽을 구축하고 라이선스 수익을 창출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초전도체처럼 R&D 비용이 막대한 분야에서는, 핵심 특허를 선점함으로써 투자금을 회수하고, 경쟁사와의 분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죠. 글로벌 대기업뿐 아니라 대학·연구소와 중견 기업들도 초전도체 관련 특허를 적극적으로 출원하고 있습니다.


초전도체 특허 국가별 및 기술분류

초전도체 특허 국가별 및 기술 동향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기술

  1. 재료·합성: 합금계(Nb-Ti, Nb3Sn 등), 세라믹계(YBCO, BSCCO, 철 기반) 초전도체 재료 합성·소결 법. 결정 결함 제어, 나노구조 도핑 등에 대한 특허가 집중
  2. 선재(와이어) 제조: PIT(Powder-in-Tube), 코팅형 테이프(Coated Conductor) 방식 등. 기계적 강도, 전류 밀도(Jc) 개선을 목표로 특허 다수
  3. 냉각 기술: 액체 헬륨, 액체 질소뿐 아니라, 크라이오쿨러·펄스튜브 냉동기 설계 등. 저비용 소형 냉각 장치 특허도 급증
  4. 응용 장치: MRI, 전력 케이블, 핵융합로 자석, 자기부상열차, 양자컴퓨팅 큐비트 등. 설계와 시스템 통합에 관한 특허 비중이 높음

국가별

  • 미국: IBM, GE, Northrop Grumman 등 대기업 중심의 특허 출원 활발. 군사·항공·우주 분야와 연계
  • 일본: 고온 초전도체 응용(전력 케이블, MRI, 자기부상) 특허가 매우 많음. 도쿄대, 고베대 등 대학·JR 그룹 등이 참여
  • 유럽: EU 공동 프로젝트(고온 초전도체 전력망, SMES 등) 추진, 독일·프랑스가 주도적. CERN(입자가속기) 연계 특허도 존재
  • 중국: 최근 급격한 성장. 대형 국영 기업, 국가 연구기관이 전력·자기부상, 핵융합 등 다양한 분야에 출원

국가별 특허 동향 표

미국 군사·항공, 의료, 양자컴퓨팅 IBM, GE, Northrop Grumman 등 군·우주 협력, 특허 라이선싱 활발
일본 자석, 자기부상, 전력 케이블 도쿄대, 고베대, JR 도카이 등 고온 초전도 응용 특허 풍부
유럽 입자가속기, 전력망, 산업 CERN, Siemens, EU 공동 과제 등 EU 차원 R&D, 에너지 응용 중점
중국 자력부상, 전력, 핵융합 국영 기업, 중국과학원, 대학 최근 특허 급증, 대형 프로젝트 많음

분류와 핵심 영역

협력특허분류 상 초전도체 코드

특허 검색 시 CPC(Classification) 상 H01L 39/00(초전도체)나 H01L 39/24(고온 초전도체) 등이 주로 해당되며, 세부 하위 클래스로 재료·응용별 분류가 있음. 이를 통해 특정 세라믹 합금, 제조 공정, 냉각 시스템 등에 집중된 특허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핵심 특허 영역

  1. 재료 조성 및 합성 방식: 예) (Y, Gd, Sm 등)Ba2Cu3O7 소재, 불순물 도핑 기술
  2. 선재 공정: PIT, 코팅 테이프, 브론즈 공정(Nb3Sn) 등
  3. 냉각 장치·크라이오쿨러 설계: 펄스튜브, GM 냉동기 등 소형·고효율화
  4. 응용 기기 설계: MRI 코일, 전동기·발전기, 전력 케이블, 자기부상 열차 시스템
  5. 양자컴퓨팅 소자: 조셉슨 접합 기반 논리회로, 큐비트 결합 방식

초전도체 특허 확보 전략

초전도체 특허 확보전략들에 대해 3가지로 나누어 알려드리겠습니다.

포트폴리오 구축

초전도체 분야는 단일 특허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재료·공정·응용이 서로 얽혀 있기 때문에, 종합적인 특허 포트폴리오 전략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세라믹 합성 공정 특허 + 냉각 장치 특허 + 시스템 설계 특허를 함께 보유해야 경쟁사가 쉽게 침해하지 못하죠.

협업과 라이선싱

국제적 규모로 진행되는 프로젝트(예: 핵융합, 고속 자기부상)에서는 여러 기업·기관이 특허 공유·협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허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공동 이익을 추구하면서도, 핵심 기술을 독점적 우위로 유지하려는 전략이 일반화되고 있습니다.

분쟁 사례

초전도체 특허 분쟁은 크게 알려진 대형 소송보다는 중소형 분쟁이 다수 보고됩니다. 주로 공정 기술, 재료 특허에 대한 침해 주장이나, 양자컴퓨팅에서 조셉슨 접합 구조를 둘러싼 권리 문제 등이 발생한다고 알려졌습니다. 특허 맵(Patent Map) 분석과 사전 라이선싱 협상이 분쟁 예방에 유효하죠.


검색과 활용

주요 데이터베이스

  • Espacenet(EPO): 유럽 특허청 DB로, CPC 분류를 통해 초전도체 관련 특허를 광범위하게 검색 가능
  • USPTO(미국 특허청): 미국 내 출원 및 등록 특허, 공개특허를 쉽게 조회
  • KIPRIS(한국 특허청): 국내 출원·등록 특허 검색, 영문 요약이 부족할 수 있으나 한국어 상세 문서 제공

맵 작성

초전도체 특정 주제(예: YBCO 테이프 공정)에 대해 키워드를 설정하고 특허를 검색·분류한 뒤, 출원인·기술분야·연도별 추이를 도표화하면 특허 맵이 완성됩니다. 이는 R&D 방향 설정, 경쟁사 동향 파악, 라이선스 협상 등에 유용합니다.

특허 검색 요령 표

키워드 선정 예) “High Tc superconductor”, “Coated conductor” 등 재료·공정·응용 키워드 함께 사용
분류 코드 CPC 등 초전도체 관련 코드 활용 H01L 39/00 ~ H01L 39/24 등
DB 검색 Espacenet, USPTO, KIPRIS 등 날짜 범위, 언어, 출원인 필터
결과 분류 기술 분류, 출원인·국가, 연도별 통계 특허 맵 작성, 중복 제거 후 정리

결론은?

실온 초전도체와 특허 폭발

최근 초고압 조건(수백 GPa) 하에서 250K 이상 온도에서도 초전도 현상을 보였다는 보고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만약 상압(일반 환경)에서 200K 이상을 만족하는 새로운 초전도체가 발견된다면, 냉각 비용이 획기적으로 낮아지고 응용 범위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입니다. 그 순간 특허 출원 경쟁도 훨씬 치열해져, 새 물질 합성과 공정, 응용 설계 전반에서 대규모 특허 전쟁이 예상됩니다.

글로벌 협력과 산업화

초전도체 특허 경쟁이 치열하다고 해도, 산업적 상용화는 대규모 자본과 인프라 투자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국제 공동 연구, M&A, 라이선스 계약 등이 활발히 일어날 가능성이 큽니다. 예를 들어, 대형 국책 프로젝트(핵융합, 도시 전력망, 고속 자기부상철도 등)를 통해 기업들이 합작 컨소시엄 형태로 특허를 공유·라이선스하는 형태가 유력하죠.

요약

초전도체 특허는 R&D와 시장 선점을 동시에 꾀하는 핵심 요소로, 재료·공정·응용 기술이 서로 긴밀히 얽혀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이미 MRI, 전력 케이블, 핵융합, 양자컴퓨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특허가 쏟아지고 있으며, 국가별·기업별로 포트폴리오 전략이 정교화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고온 초전도체 수준이 더욱 높아지거나 (실온에 가까운) 혁신적 물질이 등장한다면, 특허 경쟁과 협력이 한층 더 뜨거워질 것입니다.

반응형